대학 다니는 큰딸을 통해 본 캐나다 교육
다른도시에 유학갔던 큰딸이 방학이라
돌아왔다.
대학을 이년가까이 다니다 적성이 맞지 않는다고 해서 과를 바꿔 대학 일학년에
다시 들어갔다.
그런데 첨 가족이랑 떨어졌어 인가
철든 모습에 가슴이 뜨뜻해진다.
큰 애는 한국을 무척 좋아해서 왜 이민 왔냐고 사춘기때 그러더니 요즘엔 그런말이
언제부터 인가 들리지않는다.
내 생각엔 한국에서 자랐다면 한국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틀에 박힌 교육시스템을 잘 적응했으리라.
그렇지만 본인도 모르는 끼가 어느새 터져
나오면 그 다음은 어차피 상상이라 잘 모르겠다.
급하면 급한데로, 일단 닥친 현실에 잘 적응
하는 것을 보면 한국사람 맞는 것 같다.
어렸을적엔 그리고 중학교 졸업시 포럼때만
해도 우리 큰 딸이 천재인 것같았다.
모든 상을 독차지 하고 많은 매달을 가는
목에 주렁 주렁 메달아 우리를 기쁘게 했다.
그러더니 정작 대학을 가면서 뭘 해야 할지를 모른다면서 방황을 하게 되었다.
일단 캐나다에서 좋은 직업을 가질수 있는
전공을 택해서 진학을 했지만,
세균 키우는 일도 싫고, 기타등등 적성이
안맞다고 하기 싫단다.
참 주위의 어떤 지인이 자기 애가 모든 것을
다 잘해서 뭘할지 모른다는 또 따른 방황이
남의 말 같지 않았다.
그래서 결국은 본인이 좋아 하는 과로
다시 대학을 들어갔다.
이번에 들어갈땐 이 대학에서도 큰 애를
잘 보았는지 (?) 일년 학비의 반이 장학금으로 나왔다.
내가 너같은 농땡이가 뭘 보고 장학금을
주는지 캐나다 이상하다고 놀렸다.
큰애는 동안 노느라 (?) 내공이 자랐는지
'씩' 웃고 말았다.
어쨋든 그러고 보니 새삼스레 교육 시스템이 좋은 것 같다.
대학을 새로 진학 해도 한국 처럼 학력 고사를 새로 보기위해 재수를 해서 낭비하지는 않는다.
언제든 고등학교때 성적이 반영되고,
또 다녔던 대학에서의 과목이 같으면
인정도 받는다.
즉 보통 대학 일 이학년때 듣는 교양과목을
이수했으면 그 과목에 대해서는 따로
들을 필요없이 인정을 받는다.
그래서 본인이 원하면 다른 대학의 편입도
자유롭다.
물론 해당 대학에서 당연히 열심히 한 성과가 있어야 하지만,
요즘은 모르지만 내 대학 다닐때 처럼 편입
시험을 본다거나 그런 장벽 (?) 은 없다는
뜻이다.
모든 대학이 거의 평준화 되어있다고 보면
될 것같다.
물론 그런 만큼 일류 이류없이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모든 대학에서 평가를 한다.
그렇지만 시행착오 없이 반듯하게 애들이
자라 주면 얼마나 좋으련만 세상이 그렇게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어쨋든 공부할 기회는 노력하고 의욕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나라가 캐나다인 것같다.
학비가 없으면 오샵이라고 졸업후 갚는 조건으로 웅자금도 있고 각종 장학금도 많다.
믈론 졸업후 갚는 조건이라 부담될까 이년전에는 신청을 안했지만, 이번에는
부담스러워 해보니 받을만하다.
그리고 본인이 택해서인지 재미있어 한다.
솔직히 이런 환경에서 태어나 공부한번 해보고 싶다고 집사람도 얘기하곤 한다.
그런데 끼가 많은 것인지 얼마전에 밴드를
조직하고 본인은 베이스 기타 담당이라고
한다.
이번 겨울방학 때 집에 오면서 밴드 멤버
식당에서 밥 줄수 있냐고 해서
기꺼이 대접했다.
"개구징이라도 좋다.
튼튼하게 자라다오!"
말해야 될 것같다.